본문 바로가기
STORY/정보공유

만나이 계산법

by bonbon59 2023. 3. 16.
반응형

만 나이 도입시기? 만 나이 계산법

제가 외국에서 1년 정도 시간을 보낸 적이 있는데, 항상 애매했던 게 나이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였어요. 외국인들이 먼저 나이를 물어본 적은 거의 없지만 조금 친분을 쌓고 나면 나이 얘기를 안 할 수 없더라고요. 외국인 친구가 나이를 얘기하면 저는 한국식 나이로 다시 계산을 해보고 혼자서 위아래를 따졌던 기억이 나네요. 

  • 만 나이란?

만 나이는 태어난 때를 기산점으로 하여 매 생일을 맞을 때마다 1살이 늘어난다. (첫 생일이 되기 전에는 개월로 나타냄)

  • 만 나이 도입시기?

2023년 6월 28일 시행

  • 만 나이 계산법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뺍니다. 이 때,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1을 해주면 됩니다. 

ex) 2023년 3월 16일 기준, 1980년 4월 1일 생의 만 나이 : 2023-1980-1 = 42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42세)

 

만 나이 도입으로 달라지는 것?

각종 법령, 계약, 공문서 등에서 표시된 나이를 원칙적으로 만 나이로 해석합니다.

6세 미만 (만 나이)아동은 버스요금이 무료이나 이 것을 세는 나이로 착각하고 버스요금을 지불했던 경우 등 여러 갈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기존 연 나이로 규정했던 일부 분야는 그대로 연 나이를 적용합니다.

공무원 채용시험, 청소년 보호법, 병역법 등이 그 예입니다.

공무원 채용시험의 경우 만 나이로 생일이 지나지 않아 시험을 응시할 수 없는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피부로 와닿을만큼의 변화는 없을 것 같아요. 오랜 시간 익숙해진 탓에 사람들과 나이 얘기를 할 때 자연스럽게 한국식 나이로 얘기하게 되지 않을까요?  만 나이에 익숙하지 않아 애매했던 상황들은 확실히 정리가 될 수 있긴 하지만요.

 

그럼 오늘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