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Y/정보공유

카페 창업 필수 상식! 근로계약서 작성, 주휴수당 계산법

by bonbon59 2023. 3. 22.
반응형

카페 창업 준비의 필수 근로계약서

근로계약서란? 일하는 근로자와 지휘하는 사용자가 근로의 제공과, 임금 등을 비롯한 근로 조건 등을 정한 뒤 이를 명시하여 작성한 문서. 나중에 관련된 분쟁이 생겼을 때, 서로가 약속한 내용을 적은 것이기 때문에 분쟁과정에서 증거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2부 작성하여 근로자에게도 배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근로계약서 내용

  • 근로 계약기간 : 계약 기간을 정하는 조항. 기간제 근로자나 시간제근로자 상관없이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 소정 근로 시간 : 하루에 일하는 시간을 정하는 조항. 1일 8시간이 넘지 않는 한도에서 결정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반드시 휴게시간을 정해야 합니다. 4시간 근로 시 30분, 8시간 근로 시 1시간을 꼭 보장하여야 하며 근무시간 중간에 휴게시간을 두어야 합니다.
  • 근무일/휴일 : 한 주에 며칠을 일할지 정하는 조항. 하루 8시간, 한 주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결정하면 됩니다.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의무 조항은 주휴일입니다. 주휴수당을 결정하는 조항으로서 일주일 중 쉬는 날 하루를 주휴일로 정합니다.

 

주휴수당

  • 주휴수당이란? 

근로 기준법과 법해석에 따라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을 한 근로자에게는 주휴일을 주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주휴일을 국내법에서는 유급휴일로 보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휴일에 통상적인 근로일의 하루치 임금(일당)을 주금과 별도로 산정하여 노동자에게 지급합니다. 이 유급휴일 조항은 4인 이하 기업체에도 적용되는 조항으로,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해당됩니다. 

  • 주휴수당 계산 방법

보통 주 5일 근무제로 하루 8시간씩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면 8시간 X 시급의 주휴수당을 받습니다. 단, 40시간보다 적게 일하면 그만큼 하루치 평균 임금이 줄어드므로 그만큼 적게 책정됩니다. 40시간 미만 근로자의 통상적인 주휴수당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주 파트타임 근로시간/ 40시간(법정 1주 근로시간)  x 8시간(법정 1일 근로시간) = 주5일제로 환산된 하루 평균 근로시간환산된 하루 평균 근로시간 x 시급  =  주휴수당 지급액


예) 시급 9천원의 파트타이머 근무자가 8시간씩 2일을 일할 때, 주휴수당 지급액은? 

(16 / 40) x 8 = 3.2  > 3.2 x 9,000원 = 28,800원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에게 반드시 지급해야 할 사항이기 때문에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 주휴수당의 개념에 대해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최저시급의 인상으로 사실 주휴수당은 소상공인들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15시간 미만 근로자를 채용하는 소상공인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근무시간이 짧은 파트타이머들이 많으면 인력 관리도 그만큼 신경 쓸 것이 많기 때문에 무조건 15시간 미만 근무자를 채용하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더라고요. 똑똑한 아르바이트생이 많으니 저 같은 소상공인 사장님들! 주휴수당 계산법은 꼭 알고 계셔야겠지요~?

반응형

댓글